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 잘벌어 잘쓰기

공매도 재개 임박, 공매도 금지 청원 하는방법

by MR쿠 2021. 1. 17.
728x90

코스피가 3200까지 터치하며 한국 주식시장의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는 이때.. 분위기 파악 못하고 갑분싸로 만드는 녀석이 있다. 바로 "공매도". 공매도 재개가 임박했다는 생각에 시장이 조금씩 주춤하고 있다. 공매도 금지 청원까지 등장했다. 2020년 3월, 정부가 코로나 사태로 코스피가 엄청난 하락을 보이자 위기감을 느꼈는지 2020년 3월 13일부터 한시적으로 공매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그 기간은 6개월이었으나, 나아지지 않는 코로나 사태로 정부는 8월 다시 공매도를 6개월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코로나사태로 공매도 6개월 금지

위는 첫 번째 공매도 금지 관련 기사이다. 해당 기사가 난 후 공매도가 실제 금지되었고 코스피는 아래와 같이 움직였다.

공매도 금지 후 코스피의 움직임

공매도 금지가 시작된 3월 16일 기준 1714 선이었던 코스피는 잠시 하락 후, 공매도 재개가 되지 않고 6개월 연장한다는게 결정된 8월 27일 기준으로 2344가 되었다. 무려 6개월간 630 포인트가 상승했다. 여지없이 보여주는 공매도 금지의 효과였다.

코스피 3000시대 개박

공매도가 금지된 1년, 코스피는 엄청난 상승을 보였으며 공매도 금지가 효과를 톡톡히 보았다. 코스피는 3000피가 기본이 되었고 개미들은 제 2차 동학개미운동을 하려 자금을 모으고 있다. 증권계좌 잔고가 70조에 달한다고 하니, 앞으로의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는 시장이다.

하지만 오는 3월.. 다시 공매도가 재개 될 것이라는 찌라시가 스멀스멀 기어 나오고 있다. 누군가는 주식시장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해 공매도 금지 청원까지 올리고 있고, 누군가는 그래도 공매도는 필요악이라며 3월부터 재개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아래는 공매도 금지 청원 링크이다.

 

영원한 공매도 금지를 청원합니다. 지금 증시를 봐주세요. 공매도가 없다고 증시에 문제가 있나

나라를 나라답게, 국민과 함께 갑니다.

www1.president.go.kr

위 링크에 들어가면 아래 청원과 글을 볼 수 있다.

공매도 금지 청원

 

공매도 금지 청원 글(후략)

국민청원 사이트에서 공매도 금지 청원이 한창이다. 한창 코스피가 급상승했던 12월 말 청원이 시작되어, 현재까지 약 14만 명이 청원에 동의했다. 공매도 금지 청원에 동의하는 방법은 위쪽 링크에 접속해서 로그인 후, 동의 버튼만 누르면 된다. 아주 간단하게 공매도 금지 청원에 동의할 수 있으나, 많은 사람이 청원에 동의한다고 해서 청원이 꼭 긍정적으로 검토되는 것은 아니다. 전문가들은 공매도 금지가 한시적으로 진행되어 효과를 보았고, 앞으로는 공매도가 다시 부활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공매도가 재개되어야 할까? 공매도란 대체 무엇인가.

공매도는 쉽게 말하면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파는 것을 말한다. 공매도를 한다는 건, 주식이 내려갈 것을 예상하고 현재 가격에 팔고(공매도) 주식이 내려가면 다시 사는(매도 한 걸 갚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주식 가격이 100원이었는데 앞으로의 전망이 좋지 않다면, 100원에 공매도를 한다. 그러면 계좌에 100원이 들어온다. 시간이 지난 후 주식이 반토막이 나 50원이 된다. 그러면 다시 주식을 50원에 사서 50원의 차익을 볼 수 있다. 잘 활용하는 좋은 개념인 것 같지만,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공매도는 개인이 하기에 제한적이고 불공평하다. 그러니 기관이나 외국인이 대거 공매도를 하면 개인은 당하고 있을 수 밖에...

자세한건 공매도 아래 나무위키 링크를 참고하면 좋다.

 

공매도 - 나무위키

공매도는 크게 무차입 공매도와 차입 공매도로 분류할 수 있다. 무차입 공매도(naked short)미리 대상 주식(혹은 자산)을 빌려두지 않고 하는 공매도로, 가장 단순한 방법이다. 빌려 둔 주식이 없기

namu.wiki

공매도 재개 돤련 기사

공매도 재개 관련 기사들이 핫하다. 2월에 결판난다는 기사.. 얼마 남지 않았다. 공매도 재개된다면 분명 시장에 큰 영향이 있을 것이다. 안그래도 개미들의 꾸준한 매수세를 기관/외인이 강하게 처내고 있어 삼성전자 및 코스피를 이끄는 대형주들이 잠시 주춤 하고있다. 앞으로의 시장세는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 없으나, 공매도 재개는 분명 악재로 적용 될 것이다. 공매도 금지 청원을 통해 공매도를 영원히 막을 순 없을 것이다. 개인은 본인이 투자한 종목에 맞는 개별 전략을 세워서 대응해야 할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공매도의 불안감, 기관/외인의 강한 매도세에 코스피가 다시 2700-2800대로 내려앉지 않을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