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0

Springboot #5 Spring 동작 원리, Dispatcher Servlet 간단한 Spring 동작 원리와 여러가지 특성에 대해 정리하는 포스팅이다. 1. application.properties vs application.yml application.properties vs application.yml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설정 값들을 애플리케이션의 밖이나 안에 정의하는 파일이다.Spring boot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다 보면 외부에서 특정 값들을 주입받아야 하는 경 velog.io 검색만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개념이라 위 포스팅을 참고했다. yml이 계층 구조로 표현할 수 있고 중복 제거, 가독성이 좋다고 한다. 2. 스프링 동작 원리에서 Dispatcher Servlet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http 프로토콜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요청값을 처리(일종.. 2022. 3. 27.
SpringBoot #4 간단한 Bean 작성 이번에는 RestController안에서 bean 객체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해 보겠다. 그 전에 Bean에 대해서 잘 정리된 포스팅도 읽어 보았다. [Spring] 스프링 빈(Bean)의 개념과 생성 원리 [Spring] 스프링 빈(Bean)의 개념과 생성 원리 빈(Bean) Spring IoC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빈(Bean)이라는 용어로 부른다. 우리가 new 연산자로 어떤 객체를 생성했을 때 그 객체는 빈이 아니 atoz-develop.tistory.com 왜 스프링은 싱글톤으로 bean을 만드는가? 스프링의 장점 중 하나인 빈을 싱글톤 레지스트리로 관리하는 것이 왜 장점인지에 대해 알아보자. 스프링은 was 시작과 동시에 Ioc컨테이너에 빈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이것을 싱글톤 레스지.. 2022. 3. 27.
Springboot #3 간단한 컨트롤러 작성, Path Variable 간단한 컨트롤러 하나를 만들고, hello world를 리턴하는 함수를 작성해보겠다. 우선은 Application이 있는 패키지 안에 임시로 HelloWorldController라는 이름의 java 파일을 생성한다. 그 다음,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선언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은 단순히 JSON, XML 형태의 객체를 반환하여 HTTP response에 담아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HelloWorld라는 함수를 선언하여 @GetMapping 방식으로 method를 정의하고, 리턴 값을 String 으로 반환하도록 한다. 현재 운영하고 있는 스프링 버전에서는 @RequestMapping을 사용하고 있어 GET인지 POST인지 method를 설정해야 하는데, @GetMap.. 2022. 3. 27.
Springboot #2 시작하기(feat. 인텔리제이) Springboot 프로젝트 생성은 spring initializr로 간단히 압축 파일을 만들어 import할 수 있다. https://start.spring.io/ 강좌에 맞게 spring boot 환경설정을 했다. 그리고 우측 디펜던시 까지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우리가 사용할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를 불러오고, 쪼금 기다리면 빌드가 끝나게된다. 대충 이런 모습의 Springboot 메이븐 프로젝트 설정이 완료되었다. 회사에서 이클립스만 쓰는 나에게는 조금 어색한 느낌.. 이제 프로젝트를 실행 해봐야지. Springboot에는 내장 톰캣이 있기 때문에 간단히 run 할 수 있다. main 함수를 통해 실행이 가능하고, 실행 시 Spring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로그 색깔이 너무 안이쁘니 설정값을 .. 2022. 3. 27.
Spring Boot #1 스프링부트 개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프링부트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https://spring.io/projects/spring-boot 위 링크에서 확인 가능한 스프링부트에 대한 설명이다. Stand-alone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히 만들 수 있고, 써드파티 라이브러리 사용이나 컨피그 설정 등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는 스프링부트. 단독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제작 내장 톰캣, 제티 등으로 별도의 서버 설치 불필요 기본 starter 설정으로 다양한 api를 쉽게 사용 가능 다양한 설정 작업 쉽게 설명(auto configurataion) 기존 ioc, aop 등 사용위해 별도 xml, annotaion작업이 많이 생략됨 상용화를 필요한 통계, 모니터링 등 포함되어 있음 https://start.spring.io.. 2022. 3. 25.
웹 서비스 그리고 웹 어플리케이션, RESTful 스프링부트에 들어가기에 앞서 간단한 정리 포스팅입니다. 웹 서비스란? 세가지 특징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 간의 상호작용 플랫폼에 종속적이지 않음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웹 어플리케이션이란? 필요한 정보 REQUEST/RESPONSE FORMAT REQUEST/RESPONSE STRUCTURE ENDPOINT(URL 등) 포맷 : JSON, XML 등 SOAP vs RESTful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XML 기반, 복잡한 구조, 무겁기 때문에 현재는 SOAP보다는 RESTful이 추세 *RESTful(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자원의 정보값에 의한 전달 HTTP 통신 프로토콜 사용 HTTP method : GET, PUT, PO.. 2022.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