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SI 빅3 삼성SDS, LG CNS, SK C&C 장단점 분석

by MR쿠 2025. 3. 4.
728x90

SI(System Integration) 업계에서 국내 빅3로 꼽히는 기업은 삼성SDS, LG CNS, SK C&C입니다. 이들은 기업의 IT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각각의 강점과 차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기업의 주요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글이 취업준비생이나 이직을 준비하는 SI업계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각 업계의 평균 사원/대리/과장 연봉이 궁금하면 댓글 달아주세요)

삼성SDS – 글로벌 강점과 AI, 클라우드 혁신

삼성SDS는 삼성그룹의 IT 서비스 전문 회사로, 전 세계적으로 IT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SI 기업입니다. 아무래도 규모 면에서는 세 기업 중에 1등이라고 할 수 있어요. 매출액/영업이익 측면에서 모두 1등이고, 현재 SI 업계에서 연봉이 가장 높은 축에 속해요. 삼성전자가 휘청이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1등 기업이라고 할 수 있어요.

장점

  • 글로벌 네트워크: 삼성 그룹 계열사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음. 삼성 전자는 영업이익이 매우 높기 때문에, IT에 투자할 여력이 큼.
  • AI·클라우드 선도: AI 기반 솔루션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확대하며, 자체 AI 플랫폼 "브리티" 운영.
  • 보안 기술 강점: 생체인증, 블록체인, 엔터프라이즈 보안 솔루션 등 보안 분야에 강점이 있음. 관련된 여러가지 사업 포트폴리오가 있고 역시나 성공적으로 해냈음.
  • 삼성 그룹 내 안정적 수요 및 기술력 : 삼성전자, 삼성생명 등 그룹 계열사들의 IT 시스템을 담당하며 안정적인 수익을 기본으로 깔고 감. 게다가 삼성 인재제일의 원칙 하에, SI업계에서 인정해주는 실력자들이 많이 있고 평균적인 학력이나 연봉, 기술력이 높은 편입니다. 세 기업 중 가장 무난하다고 볼 수 있어요.

단점

  • 삼성 계열사 의존도: 전체 매출 중 삼성 계열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그룹 외 신규 고객사 확보가 과제. 요즘에는 신규 고객사 혹은 공공 사업 등을 꺼려하는 내부 분위기가 있다고 해요.
  • SI 산업의 한계: 기존 SI 사업 중심에서 벗어나 클라우드, AI, 데이터 분석 등의 신사업 비중을 확대해야 하는 상황. 열심히 투자하고 있는 분야이긴 하지만, 기술적인 한계가 있는 듯 보입니다.
  • 외부 경쟁 심화: AWS, MS Azure 등 글로벌 IT 기업과의 경쟁 심화로 클라우드 시장에서 차별화가 필요.

LG CNS – 스마트팩토리 및 금융 IT 특화

LG CNS는 IT 서비스 및 솔루션 제공을 통해 제조, 금융, 공공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는 기업입니다. 그룹사 매출 의존도가 낮고, 영업이익률이 매우 높으며 외부 SI 사업에 강점이 있어요. 과거에는 IT 사관학교라 불리며 비전공자도 전문가로 만들어버리는 커리큘럼을 보여줬고, 개발 전문가가 많이 포진해있어 이직도 잘 되는 회사에요. 현재 신입공채 초봉 및 대리/과장의 연봉이 삼성SDS보다 높은 수준이랍니다. 최근 공모를 통해 상장을 했고, 앞으로도 계속 발전하고 성장할 것 같은 회사에요.

장점

  • 스마트팩토리 강점: LG전자, LG화학 등 그룹사의 제조업 노하우를 활용하여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적극 확대.
  • 금융 IT 경쟁력: 국내 주요 은행 및 금융권 IT 시스템을 구축하며 금융 SI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 확보.
  • 클라우드 전환 적극 추진: LG 그룹 차원의 클라우드 전환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외부 기업으로도 확대 중.
  • 공공 사업 진출: 정부 및 공공기관의 IT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 유지. 특히 공공! 공공 큰 사업은 CNS가 독점이라고 할 정도로, 수주를 잘 하는 편입니다.

단점

  • LG 그룹 의존도: 삼성SDS와 마찬가지로 그룹 계열사 의존도가 있음. 
  • 기술 투자 경쟁: AI,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 등 신기술 투자에서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며 차별화가 필요.
  • 해외 시장 확장 제한적: 글로벌 진출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며, 해외 시장 확대 전략이 필요함.

SK C&C – 데이터 분석 및 클라우드 전환 주도

SK C&C는 SK그룹의 IT 서비스 계열사로, 특히 데이터 분석과 클라우드 서비스 전환에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조금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요. 그룹사 내에서 IT사업을 독자적으로 하는 회사들도 몇몇 있고, 사업을 몰아주고나 투자를 많이 하는 모습이 아니라 이직을 많이 하고 기술부채가 쌓여가는 모습이에요. 빅3 라고 불리는 IT 업계 3대 회사에서도 빠져야 한다는 주장이 많은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장점

  • 데이터 분석·AI 서비스 특화: 데이터 분석, AI 기반 솔루션 개발 등에서 강점을 보이며, SK 그룹 계열사와 협력.
  •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 환경을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 헬스케어·에너지·모빌리티 특화: SK 그룹의 다양한 산업군과 협력하여 IT 융합 솔루션을 개발.
  • 공공 및 금융권 진출: 공공기관 및 금융권의 클라우드 전환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

단점

  • B2B 중심 사업 구조: B2C 시장보다는 기업 및 공공기관 대상 사업에 집중되어 있어 소비자 대상 브랜드 인지도 낮음.
  • 외부 고객 확대 필요: SK 그룹 계열사 외 신규 고객 확보가 주요 과제.
  • SI 의존도 탈피 필요: 기존 시스템 통합(SI) 중심에서 클라우드, AI 서비스 모델로의 전환이 필요함.

여전히 좋고 훌륭한 회사들, 그리고 현대오토에버

삼성SDS, LG CNS, SK C&C는 각각 모두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고, 여전히 탑3라고 불릴만 한 회사들이에요. 하지만 타 SI회사들도 더 발전하고 인력 순환을 통해서 실적을 나타내고 있어요. 요즘 자동차업계의 호황으로 빛을 내고 있는 "현대오토에버"는 탑3사를 넘어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은 SI회사가 되었어요. (일명 갓토에버..) 그 만큼 변화가 있고, 앞으로 어떤 그림이 펼쳐질지 모르는 망망대해같은 SI 시장에서 새로운 기술로 새로운 기회를 만드는 기업이 앞서나갈 것 같아요. 저도 SI업계에 발 담고 있는 만큼, 예의주시하고 또 열심히 공부해야겠습니다.

SI 업계 TOP3 삼성, SK, LG